서양고전


지각의 현상학

도서위치 : 서양고전053

저자/아티스트 : 모리스 메를로 퐁티 (지은이), 류의근 (옮긴이)

출간일(출시일) : 2002-12-20

ISBN13 : 9788932013770

출판사(제작사/출시사) : 문학과지성사

목차 :

서문: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서론: 고전적 편견들과 현상으로의 복귀

제1장 감각
제2장 연합과 기억의 투사
제3장 주의와 판단
제4장 현상적 장

1부 신체

서론
제1장 대상으로서의 신체와 기계론적 생리학
제2장 신체의 경험과 고전적 심리학
제3장 고유한 신체의 공간성, 그리고 운동성
제4장 고유한 신체의 종합
제5장 성적 존재로서의 신체
제6장 표현으로서의 신체, 그리고 언사

제2부 지각된 세계

서론 신체론은 이미 지각론이다
제1장 감각한다는 것
제2장 공간

서론 공간은 인식의 형식인가?
제3장 사물과 자연적 세계
제4장 타인과 인간적 세계


제3부 대자 존재와 세계-에로-존재

제1장 코기토
제2장 시간성
제3장 자유

참고 문헌
용어 해설
메를로-퐁티의 철학에 대해서
옮긴이의 말

요약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은 현대 철학의 고전으로, 신체의 자기 체험과 그 구조를 기술한 명저이다. <지각의 현상학>은 의식 일변도로 흘러가던 서양 철학의 눈길을 신체로 되돌려놓는 신기원을 이룩하였다.

책소개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은 현대 철학의 고전으로, 신체의 자기 체험과 그 구조를 기술한 명저이다. <지각의 현상학>은 의식 일변도로 흘러가던 서양 철학의 눈길을 신체로 되돌려놓는 신기원을 이룩하였다.

후설의 선험적 의식으로부터 신체에로 이행하는 것이 메를로-퐁티의 출발점으로, 의식의 삶에서 신체의 삶으로의 전회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사르트르 및 하이데거의 현상학으로부터 변별짓는다. 그는 <지각의 현상학>에서 전통 철학의 도식과 접근, 범주와 개념을 현상학적으로 비판하면서 선험철학을 갱신시켰다.

이번에 출간한 <지각의 현상학> 한국어판에는 이 책의 주요 용어를 정리한 '용어 해설'과 메를로-퐁티의 철학 세계를 자세히 소개한 '메를로-퐁티의 철학에 대해서'가 실려 있어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