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운영하는 온라인 인문 플랫폼 인문360과 플라톤아카데미에서 제공하는 칼럼입니다.

문학선물의 과학

2022-02-16

선물의 과학

 


바야흐로 12월, 선물의 계절이 돌아왔다. 당신은 누구에게 선물을 줄지, 얼마나 선물 비용을 쓸지, 그리고 무엇을 살지를 결정해야 한다. 보통 선물을 주고 받는것은 관계를 돈독히 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너무 성의 없는 선물은 반대의 효과를 낳을수도 있다.

“잘못된 선물의 선택은 선물을 주고 받는 사이의 공통점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둘 사이의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라고 캐나다 브리티쉬 컬럼비아 대학의 심리학 교수 엘리자베스 던은 이야기한다. 당신은 연말 선물이 도움보다는 해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선물을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심리학은 이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선물 가격에 너무 신경쓰지 말라

당신의 상대방을 향한 마음을 보여주기 위해 꼭 비싼 선물을 해야만 할까?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비싼 선물이 꼭 상대방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카네기 멜론 대학 경영대학원의 제프 갈락 교수는이렇게 이야기한다. “당신이 선물에 더 돈을 많이 쓰면 당연히 더 좋은 선물을 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받는 사람이 그 선물의 가격을 알았다고 해서 그 선물에 대해 더 고마워한다는 증거는 없다.”
소비자 행동을 오랬동안 연구해온 갈락 교수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당신은 사회적 전통에 맞는 어느 정도 가격대의 선물을 사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그 가격대를 넘어서는 선물을 산다고 해서 상대방이 훨씬 더 감동하는 것은 아니다. 선물은 선물 그 자체로 중요한 것이다.”




긴 안목으로 생각하라

선물을 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물을 주는 순간에 느껴지는 상대방의 기쁜 표정을 넘어서는 그 이상을 생각하지 못한다. 갈락 교수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선물을 줄때, 주는 사람들은 그 순간의 선물을 받는 상대방 얼굴의 미소만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선물을 받는 사람들은 그 선물을 통해 오랜 기간에 걸쳐 얻는 가치를 더 기억한다.”

즉, 예를 들어, 친구나 친척들에게 월간 영화 서비스 구독권을 선물하는 것은 아주 멋있어 보이지 않을지는 몰라도, 받는 사람은 그것을 장기간에 걸쳐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독특한 선물에 집착하지 말라

사람들은 선물을 살 때 받는 사람의 독특한 특징에 맞춰서 사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런 독특함에 신경쓰다 보면 받는 사람의 필요를 놓치고 결국 덜 좋은 선물을 사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선물에 신경쓰는 사람은 사람마다 다른 선물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받는 사람들은 같은 선물을 받아도 모두 행복할 수도 있고, 받는 사람들이 서로 무엇을 받았는지 비교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함께 공유하는 관심에 따라 선물하라

보다 좋은 선물을 주기 위해, 심리학 교수 던은 받는 사람과 공통적인 관심을 공유할수 있는 것을 사라고 조언한다. 즉 당신이 선호하는 것을 사는 것이 아니라 당신과 선물 받는 사람이 공유하는 부분을 생각해서 선물을 고르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을 위해서 무엇인가를 고르는 것에 익숙하다.그러므로 당신이 타인과 공유하는 무엇인가가 있으면, 그것에 어울리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공유하는 부분에 대해 당신이 좋아하는 그것은 다른 사람도 좋아할 확률이 높다.” 라고 던 교수는 이야기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당신과 받는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을 선물하는 것도 좋은 선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과 받는 사람이 모두 요리를 좋아한다면, 요리 클래스 선물이 아주 유용할 수 있고 그 경험을 통해 당신과 받는 사람은 더욱 친밀해 질 수 있다.



함께 공유하는 경험은 훌륭한 선물이 될 수 있다


받는 사람이 무엇을 원하는지 물어보라

당신과 받는 사람이 공유하는 부분이 없다면,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무엇을 갖고 싶은지 물어보는 것도 좋다. 연구에 의하면 많은 사람들은 선물을 받을때 주는 사람이 무엇을 갖고 싶은지 물어보는 것을 물어보지 않는 것보다 좋아한다고 한다. 선물을 주는 사람은 깜짝 선물을 주고 싶어 하지만, 많은 경우 더 좋은 선물은 받는 사람이 원하는 것이다.


너무 많이 생각하지 말라

무엇을 선물할까 너무 고민하고 걱정하지 말라. 아주 나쁜 선물을 주기는 쉽지 않다. 너무 경우에 맞지 않는 선물이 아니라면, 받는 사람은 대부분 고마움을 느낄 것이다. 갈락 교수의 연구에 참가했던 수천명의 응답자를 가운데 나쁜 선물에 대해 얘기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설령 당신이 별로 좋지 않은 선물을 했을지라도, 받는 사람은 당신을 원망하는 것이 아니라 왜 당신이 그 선물을 하게 되었을까에 대해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최소한 당신이 그 선물을 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들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고마와 할 것이다. 그리고 선물을 준 당신은 선물을 한 것으로 인해 그만큼 더 행복해 질 것이다.


참고문헌

The science behind giving good gifts
The Psychology of Gift Giving: 3 Lessons
The psychology of gift giving

--------------------------------------------------------------------------------------------------------------------------------------------------------------------------

_20180129113834.jpg 
필자_조종희
미국 포드자동차에서 디지털 마케팅 분석을 담당하고 있다.
인문학과 과학기술이 만나는 분야들, 그중에서도 특히 새로운 기술이 가져올 인류의 미래에 대한 관심이 많다.





---------------------------------------------------------------------------------------------------------------------------------------------------------------------------



플라톤아카데미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