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


의산문답 -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도서위치 : 동양고전053

저자/아티스트 : 홍대용 (지은이), 문중양 (옮긴이)

출간일(출시일) : 2019-07-30

ISBN13 : 9788957336380

출판사(제작사/출시사) : 아카넷

목차 :

해제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11

1부 헛된 공부였음을 인정하다
1. 세상을 등지고 의무여산에 은거할 뜻을 품다 25
2. 지난 공부의 헛됨을 반성하고 가르침을 청하다 33
3. 사람이 사물과 다른 이치에 대해 묻고 논하다 46

2부 우주의 새로운 원리를 살펴보다
4. 기(氣)에서 우주가 생성되다 63
5. 땅은 구형이다 72
6. 지구의 메커니즘 우주의 무상하와 지면 위의 상하의 형세 80
7. 지구의 모두가 정계(正界) 93
8. 지전이 어떻게 가능한가 99
9. 서양의 지동설 부정에 대하여 106
10. 티코 모델에서 무중심의 우주 모델로의 전환 112
11. 고리 모양의 수 많은 은하계를 상상하다 또 다른 세계의 공간 118
12. 소옹의 원회운세설을 부정하다 122
13. 다른 세계를 유력(遊歷)하고픈 허자의 욕망을 질타하다 126
14. 지구는 왜 자전만 하나 무겁고 둔하기 때문이다 137

3부 천체와 기상 현상을 살펴보다
15. 고전적 천문관을 비판하고 분야설을 수정하다 143
16. 달 가운데 명암의 형상을 묻다 152
17. 하늘의 구조와 별들의 운행에 대하여 157
18. 요사한 별과 오행성의 밝기에 대하여 162
19. 일식과 재이론에 대하여 166
20. 기상 현상 1 바람·구름·비·눈·서리·우박·천둥·번개·무지개·무리 171
21. 기상 현상 2 청몽기차에 대하여 181
22. 기상 현상 3 지구설과 햇빛의 경사각에 의한 기후의 차이 186
23. 음양오행설과 인물의 근원으로서 태양 불의 역할 191

4부 땅에 대하여 논하다
24. 북고남저의 지세 203
25. 낮과 밤의 지역 간 장단에 대하여 206
26. 바다와 조석에 대하여 209
27. 지각 변동에 대하여 산 위의 조개껍질과 곤과 우의 치수 사업 216
28. 땅은 활물(活物)이다 221
29. 음택풍수와 적절한 장례법 225
30. 음택풍수와 동기감응에 대하여 235

5부 인류 역사를 새로 쓰다
31. 천지 생성 이후 인류 사회의 탄생 243
32. 중화 문명의 부침의 역사 252
33. 중화와 이적은 같다 267
참고문헌 273
찾아보기 279

요약 : 역해자 문중양 교수에 따르면 『의산문답』은 당대의 시공간의 맥락을 살펴서 읽어야 한다. 가령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책소개 : 일반적으로 『의산문답』은 홍대용이 실옹과 허자라는 두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고, 이들이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과학 사상을 전개하는 내용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의 원리뿐만 아니라 천체와 기상 현상, 인류 역사의 탄생 등 천문, 역법, 산술, 지질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이 전개된다. 특히 홍대용이 땅이 원형(구형)임을 주장하고 무한우주에서의 다세계설을 펼치는 사색의 근대성은 큰 주목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의 차원에서 ‘사람과 사물은 균등하다’는 인물균과 ‘중화와 이적은 같다’는 ‘화이일야’를 주장한 내용은 ‘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상식으로 볼 때 일탈적이고 파격적인 주장이다. 그러나 이 책의 역해자 문중양 교수에 따르면 『의산문답』은 당대의 시공간의 맥락을 살펴서 읽어야 한다. 가령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 홍대용의 일탈적이고 파격적인 주장을 담은 의산문답,
당대의 시공간적 맥락에 맞는 독해법을 제시하다


일반적으로 『의산문답』은 홍대용이 실옹(實翁)과 허자(虛子)라는 두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고, 이들이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과학 사상을 전개하는 내용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의 원리뿐만 아니라 천체와 기상 현상, 인류 역사의 탄생 등 천문, 역법, 산술, 지질학 등 자연과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이 전개된다. 특히 홍대용이 땅이 원형(구형)임을 주장하고 무한우주에서의 다세계설을 펼치는 사색의 근대성은 큰 주목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의 차원에서 ‘사람과 사물은 균등하다’는 인물균(人物均)과 ‘중화와 이적은 같다’는 ‘화이일야(華夷一也)’를 주장한 내용은 ‘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상식으로 볼 때 일탈적이고 파격적인 주장이다. 그러나 이 책의 역해자 문중양 교수에 따르면 『의산문답』은 당대의 시공간의 맥락을 살펴서 읽어야 한다. 가령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정인보 이래 대부분의 근대 연구자들은 『의산문답』에서 지구 중심의 편협하고 유한한 우주를 넘어선 무한우주에서의 다세계설을 펼치는 사색의 근대성을 보았다. 그러나 홍대용의 후배 이규경은 홍대용의 다세계설을 우언으로서 호사가들의 좋은 이야깃거리였다고 일축했다. 그 거리가 너무나 멀다. 『의산문답』의 이야기를 우화로 보면 특권 지배 세력으로서 여유 있는 지적 유희를 즐길 수 있었던 홍대용이 펼친 과격한 논의들을 이해할 수 있다. 원굉도가 『장자』의 우화를 흉내 내어 더 황당한 상상의 나래를 펼친 것처럼 조선 유학자 홍대용도 『의산문답』에서 유학자로서의 영역을 넘나드는 지적 유희를 펼쳤다고 볼 수는 없을까.”(<해제> 에서)

실제로 『의산문답』의 편찬과 출간내력을 살펴보면 1930년대 이전 조선시대에 『의산문답』은 널리 유통되지 않았고 홍대용과 교류가 있는 노론계 학인들 중심으로 소수에게만 필사본으로만 회람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히려 『의산문답』은 정인보와 같은 일제 식민지기 조선학운동을 펼치던 국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 과학의 부재’를 통탄하며 조선의 자주독립을 위해 과학적 지식을 창출해야 한다고 부르짖던 조선학운동가들에게 한 줄기 빛처럼 보였다.
정인보가 ‘실학적 지식’을 규정하면서 과학을 중심에 두었던 것을 고려하면 당연한 일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의산문답』은 홍대용의 사상과 지식의 성격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정인보는 『의산문답』의 핵심 내용을 지구설과 지동설, 그리고 ‘역외춘추론’으로 알려진 탈화이론적 세계관으로 요약했다. 그러나 역해자가 보기에 정인보와 같은 1930년대 ‘실학’ 연구 선구자들의 『의산문답』 읽기는 우리가 갖고 있던 근대성의 필터를 거친 것으로서 역사적 맥락에서 많이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역해자는 “오래전에 쓰인 텍스트를 읽을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중요한 것이 독자 자신이 서 있는 시공간적 위치에서 읽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가능하면 독자가 가진 근대 학문의 필터를 지우고 텍스트가 쓰인 오래전 당대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텍스트를 읽어야 한다. 그럴 때 텍스트의 저자가 의도한 바를 제대로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한다. 당시 조선의 분위기를 생각할 때 놀라운 통찰력이 담겨 있고, 전통 유교의 성리학과 근대적인 서양과학 사이에 서 있는 홍대용 자신의 두 가지 면모를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는 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