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위치 : 동양고전064
저자/아티스트 : 남현희 (지은이)
출간일(출시일) : 2018-08-25
ISBN13 : 9788990535559
출판사(제작사/출시사) : 문자향
목차 :
서문
1. 성심(省心)
2. 처기(處己)
3. 학문(學問)
4. 독서(讀書)
5. 처사(處事)
6. 사절(士節)
7. 시폐(時弊)
8. 절용(節用)
9. 애민(愛民)
10. 정사(政事)
11. 형정(刑政)
12. 훈어(訓語)
요약 : <일득록(日得錄)>은 조선의 제22대 왕인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싱크탱크'였다고도 할 수 있는 규장각 신하들이 일상에서 보고 들은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이 책에는 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정조의 면모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소개 : <일득록(日得錄)>은 조선의 제22대 왕인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싱크탱크'였다고도 할 수 있는 규장각 신하들이 일상에서 보고 들은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이 책에는 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정조의 면모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리고 그 한마디 한마디는 200년이라는 시간을 초월하여 여전히 같은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큰 의미로 다가온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 평범한 군주가 되기를 거부한 조선의 호학 군주, 정조를 어록으로 만나다.
『일득록(日得錄)』은 조선의 제22대 왕인 정조(正祖, 1752~1800)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싱크탱크’였다고도 할 수 있는 규장각 신하들이 일상에서 보고 들은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이 책에는 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정조의 면모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리고 그 한마디 한마디는 200년이라는 시간을 초월하여 여전히 같은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큰 의미로 다가온다.
정조의 이름은 성(祘), 자는 형운(亨運), 호는 홍재(弘齋)·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만천명월주인옹(萬川明月主人翁)·홍우일인재(弘于一人齋) 등이다. 정조는 어린 시절부터 책 읽는 것을 매우 좋아하여, ‘안 본 책이 없을’ 정도로 지독한 독서광이었다. 왕위에 오른 뒤에는 평범한 군주가 되는 것을 거부하며, 세도(世道)와 풍속을 바로잡아 한 세상의 치화(治化)를 새롭게 하려는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있었다. 당쟁을 혁파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함으로써 정국을 일신하는 데 힘을 기울였으며, 경제를 안정시키고 문예를 부흥시키는 정책을 써서 조선을 민생이 안정된 문화 국가로 만들려 하였다. 또한 군사(君師 : 임금이면서 스승)로 자처하여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주도권을 행사하였으며, 효성도 지극하여 이에 관해 많은 일화를 남기고 있다.
정조에게는 다양한 수식어가 따라붙는데, 호학 군주, 계몽 군주, 개혁 군주, 천재 군주, 실용 군주, 애민 군주, 문화 군주, 심지어 무인(武人) 군주 등이 그것이다. 그만큼 정조는 다방면에 걸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그 가운데 정조를 가장 잘 대변하는 말은 ‘호학(好學)’이다. 정조는 당시 그 어떤 학자들보다 학문과 독서에 힘을 쏟았으며, 그것을 말(言)과 행동(行)으로 적극 실천하였기 때문이다. 『일득록』에 기록된 정조의 언행(言行)도 그 근본을 따져 보면, 모두 치열한 학문과 독서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들이다.
정조는 평소 자기 자신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데도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래서 세손 시절부터 날마다 일기를 쓰며, 하루하루의 삶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 이것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이다. 이 일기는 훗날 즉위한 뒤 『일성록(日省錄)』으로 발전하였다. 일기가 자기 스스로의 눈으로 자기를 살피는 것이라면, 신하들로 하여금 자기의 언행을 기록하게 한 『일득록』은, 자기의 눈으로 미처 살피지 못한 것을 신하들의 눈으로 살펴서 반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철저한 자기반성은 치열한 학문 자세와 함께, 정조를 오늘의 정조이게 한 토대가 되었다.
『일득록』은 정조 7년(1783) 규장각 직제학 정지검(鄭志儉)의 건의로 처음 시작되었는데, 규장각 신하들이 평소 보고 들었던 것을 그때그때 기록해 두고, 연말에 그 기록들을 모으고 편집하여 규장각에 보관하였다가, 나중에 책으로 엮은 것이다. 정조는 이 책을 편집하게 한 의도를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것(『일득록』)은 반성의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며, 또한 그 기록을 통해 신료들의 문장과 논의도 살펴볼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서였다. 지금 만약 지나치게 좋은 점만 강조하여 포장하려 한다면, 그저 덕을 칭송하는 하나의 글이 될 뿐이니, 어찌 내가 이 책을 편집하게 한 본뜻을 어긴 정도일 뿐이겠으며, 뒷날 이 책을 보는 이들이 지금 이 시대를 어떻다 할 것이며, 규장각 신료들을 또 어떻다 하겠는가? 이러한 의미를 규장각 신하들은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다.”(「일득록서」)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에 실려 있는 『군서표기』 「일득록」 조항을 보면, 『일득록』은 원래 ‘학(學), 지행(知行), 성명(性命), 이기(理氣), 경사(經史), 예(禮), 악(樂), 치(治), 도(道), 경천(敬天), 근민(勤民), 용인(用人), 이재(理財), 숭유(崇儒), 강무(講武), 휼형(恤刑), 역대(歷代), 본조(本朝), 이모(詒謨), 훈신료(訓臣僚), 시문(詩文)’의 21항목으로, 그 항목이 세분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현재 『홍재전서』에 실려 있는 『일득록』은 ‘문학(文學), 정사(政事), 인물(人物), 훈어(訓語)’의 4항목으로만 편차되어 있다. 아마도 순조 때 『홍재전서』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이 네 항목으로 통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역서에서는 『일득록』 가운데, 난해하여 전문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것, 오늘의 현실에 맞지 않는 것, 내용이 중복되거나 유사한 것 등은 제외하고, ‘성심(省心), 처기(處己), 학문(學問), 독서(讀書), 처사(處事), 사절(士節), 시폐(時弊), 절용(節用), 애민(愛民), 정사(政事), 형정(刑政), 훈어(訓語)’의 12항목으로 재편하였다. 이 12가지 소제목은 정조가 평생 통해 추구했던 삶의 지향점이기도 했다. 그리고 각 단락마다 원문과 함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역자의 평설을 달아 놓았다.
이 책에 실린 정조의 언행은 역사․정치․사회․학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한 개인의 삶에 이르기까지, 200여 년이 지난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책을 읽음으로써, 자신의 내면 세계를 성찰하여 더욱 풍요로운 삶의 토대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우리 시대를 반성하고 비판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도서위치 : 동양고전064
저자/아티스트 : 남현희 (지은이)
출간일(출시일) : 2018-08-25
ISBN13 : 9788990535559
출판사(제작사/출시사) : 문자향
목차 :
서문
1. 성심(省心)
2. 처기(處己)
3. 학문(學問)
4. 독서(讀書)
5. 처사(處事)
6. 사절(士節)
7. 시폐(時弊)
8. 절용(節用)
9. 애민(愛民)
10. 정사(政事)
11. 형정(刑政)
12. 훈어(訓語)
요약 : <일득록(日得錄)>은 조선의 제22대 왕인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싱크탱크'였다고도 할 수 있는 규장각 신하들이 일상에서 보고 들은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이 책에는 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정조의 면모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소개 : <일득록(日得錄)>은 조선의 제22대 왕인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싱크탱크'였다고도 할 수 있는 규장각 신하들이 일상에서 보고 들은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이 책에는 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정조의 면모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리고 그 한마디 한마디는 200년이라는 시간을 초월하여 여전히 같은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큰 의미로 다가온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 평범한 군주가 되기를 거부한 조선의 호학 군주, 정조를 어록으로 만나다.
『일득록(日得錄)』은 조선의 제22대 왕인 정조(正祖, 1752~1800)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정조의 ‘싱크탱크’였다고도 할 수 있는 규장각 신하들이 일상에서 보고 들은 정조의 언행을 기록한 이 책에는 한 인간으로서,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정조의 면모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리고 그 한마디 한마디는 200년이라는 시간을 초월하여 여전히 같은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큰 의미로 다가온다.
정조의 이름은 성(祘), 자는 형운(亨運), 호는 홍재(弘齋)·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만천명월주인옹(萬川明月主人翁)·홍우일인재(弘于一人齋) 등이다. 정조는 어린 시절부터 책 읽는 것을 매우 좋아하여, ‘안 본 책이 없을’ 정도로 지독한 독서광이었다. 왕위에 오른 뒤에는 평범한 군주가 되는 것을 거부하며, 세도(世道)와 풍속을 바로잡아 한 세상의 치화(治化)를 새롭게 하려는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있었다. 당쟁을 혁파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함으로써 정국을 일신하는 데 힘을 기울였으며, 경제를 안정시키고 문예를 부흥시키는 정책을 써서 조선을 민생이 안정된 문화 국가로 만들려 하였다. 또한 군사(君師 : 임금이면서 스승)로 자처하여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주도권을 행사하였으며, 효성도 지극하여 이에 관해 많은 일화를 남기고 있다.
정조에게는 다양한 수식어가 따라붙는데, 호학 군주, 계몽 군주, 개혁 군주, 천재 군주, 실용 군주, 애민 군주, 문화 군주, 심지어 무인(武人) 군주 등이 그것이다. 그만큼 정조는 다방면에 걸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그 가운데 정조를 가장 잘 대변하는 말은 ‘호학(好學)’이다. 정조는 당시 그 어떤 학자들보다 학문과 독서에 힘을 쏟았으며, 그것을 말(言)과 행동(行)으로 적극 실천하였기 때문이다. 『일득록』에 기록된 정조의 언행(言行)도 그 근본을 따져 보면, 모두 치열한 학문과 독서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들이다.
정조는 평소 자기 자신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데도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래서 세손 시절부터 날마다 일기를 쓰며, 하루하루의 삶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 이것이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이다. 이 일기는 훗날 즉위한 뒤 『일성록(日省錄)』으로 발전하였다. 일기가 자기 스스로의 눈으로 자기를 살피는 것이라면, 신하들로 하여금 자기의 언행을 기록하게 한 『일득록』은, 자기의 눈으로 미처 살피지 못한 것을 신하들의 눈으로 살펴서 반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철저한 자기반성은 치열한 학문 자세와 함께, 정조를 오늘의 정조이게 한 토대가 되었다.
『일득록』은 정조 7년(1783) 규장각 직제학 정지검(鄭志儉)의 건의로 처음 시작되었는데, 규장각 신하들이 평소 보고 들었던 것을 그때그때 기록해 두고, 연말에 그 기록들을 모으고 편집하여 규장각에 보관하였다가, 나중에 책으로 엮은 것이다. 정조는 이 책을 편집하게 한 의도를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것(『일득록』)은 반성의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며, 또한 그 기록을 통해 신료들의 문장과 논의도 살펴볼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서였다. 지금 만약 지나치게 좋은 점만 강조하여 포장하려 한다면, 그저 덕을 칭송하는 하나의 글이 될 뿐이니, 어찌 내가 이 책을 편집하게 한 본뜻을 어긴 정도일 뿐이겠으며, 뒷날 이 책을 보는 이들이 지금 이 시대를 어떻다 할 것이며, 규장각 신료들을 또 어떻다 하겠는가? 이러한 의미를 규장각 신하들은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다.”(「일득록서」)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에 실려 있는 『군서표기』 「일득록」 조항을 보면, 『일득록』은 원래 ‘학(學), 지행(知行), 성명(性命), 이기(理氣), 경사(經史), 예(禮), 악(樂), 치(治), 도(道), 경천(敬天), 근민(勤民), 용인(用人), 이재(理財), 숭유(崇儒), 강무(講武), 휼형(恤刑), 역대(歷代), 본조(本朝), 이모(詒謨), 훈신료(訓臣僚), 시문(詩文)’의 21항목으로, 그 항목이 세분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현재 『홍재전서』에 실려 있는 『일득록』은 ‘문학(文學), 정사(政事), 인물(人物), 훈어(訓語)’의 4항목으로만 편차되어 있다. 아마도 순조 때 『홍재전서』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이 네 항목으로 통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역서에서는 『일득록』 가운데, 난해하여 전문 지식이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것, 오늘의 현실에 맞지 않는 것, 내용이 중복되거나 유사한 것 등은 제외하고, ‘성심(省心), 처기(處己), 학문(學問), 독서(讀書), 처사(處事), 사절(士節), 시폐(時弊), 절용(節用), 애민(愛民), 정사(政事), 형정(刑政), 훈어(訓語)’의 12항목으로 재편하였다. 이 12가지 소제목은 정조가 평생 통해 추구했던 삶의 지향점이기도 했다. 그리고 각 단락마다 원문과 함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역자의 평설을 달아 놓았다.
이 책에 실린 정조의 언행은 역사․정치․사회․학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한 개인의 삶에 이르기까지, 200여 년이 지난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책을 읽음으로써, 자신의 내면 세계를 성찰하여 더욱 풍요로운 삶의 토대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우리 시대를 반성하고 비판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